typescript
ts.config.json 설정 알아보기
냠냠맨
2023. 4. 18. 17:38
🐕 인트로
{
"compilerOptions": {
"target": "es5",
"lib": [
"dom",
"dom.iterable",
"esnext"
],
"allowJs": true,
"skipLibCheck": true,
"esModuleInterop": true,
"allowSyntheticDefaultImports": true,
"strict": true,
"forceConsistentCasingInFileNames": true,
"noFallthroughCasesInSwitch": true,
"module": "esnext",
"moduleResolution": "node",
"resolveJsonModule": true,
"isolatedModules": true,
"noEmit": true,
"jsx": "react-jsx"
},
"include": [
"src"
]
}
target : 자바스크립트를 어느 버전으로 변환할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lib : 타입스크립트에서 기본으로 지원되는 라이브러리를 명시합니다. 타입스크립트에 내장되어있어요!
다만 위와 같이 명시를 해줘야 타입스크립트가 자동완성기능같은걸 잘 수행해주네요
allow.js : 일반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프로젝트에 둘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합니다.
자바스크립트를 같이 사용하고 싶은 경우 true로 설정합니다.
strict : 이 옵션을 true로 설정하면 가장 엄격한 설정이 됩니다.
묵시적인 any 설정이 불가하게 됩니다.
jsx : jsx 옵션을 지원할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합니다.
👻흥미로운 레퍼런스
https://ui.toast.com/posts/ko_20210217
올해 버려야 할 타입스크립트 나쁜 버릇 10가지
타입스크립트와 자바스크립트는 지난 몇 년에 걸쳐 꾸준히 진화했고 우리가 만든 습관 중 일부는 쓸모없어졌다. 어떤 건 애초에 의미가 없었을 수도 있다. 이 글은 꼭 고쳐야 할 나쁜 습관 10가
ui.toast.com
🐶마치며
config 지옥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흑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