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의 구분
LAN(Local Area Network) | MAN(Metro Area Network) | WAN(Wide Area Network) |
사용자 내부 네트워크 | 한 도시 정도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멀리 떨어진 LAN을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
자체 인프라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MAN |
통신사가 이미 갖고 있는 인프라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WAN |
예전엔 LAN ,MAN, WAN에서 사용하는 기술이 모두 달랐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기술이 이더넷으로 통합되면서 관리 범위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LLCF(Link Loss Carry Forward)
LLCF란 한쪽 링크가 다운되면 이를 감지해 반대 쪽 링크도 다운 시키는 기능입니다.
🙄이더넷 네트워크 표준
이더넷 네트워크는 케이블의 종류 ,인코더의 종류 등으로 세분화되어 여러가지 표준이 있지만
주로 사용되는 표준은 3가지로 다음과 같습니다.
1. 1000BASE-T/10GBASE-T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을 이용하는 기가 이더넷 표준
2.1000BASE-SX/10GBASE-SR
멀티모드 광케이블을 이용하고 비교적 짧은 거리를 보낼 수 있는 이더넷 표준
3.1000BASE-LX/10GBASE-LR
싱글모드 광케이블을 이용하고 비교적 긴 거리를 보낼 수 있는 이더넷 표준
표준의 명칭은 이런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00 BASE- T 속도 채널 케이블 타입
🙄허브
허브는 1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입니다.
허브는 거리가 멀어질 수록 줄어드는 전기 신호를 재생성해주고
여러 대의 장비를 연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그러나 허브는 모든 포트로 들어온 신호를 내보내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단말이 경쟁하게 되므로 전체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되며
패킷이 무한 순화해 네트워크 마비를 일으키는 등 문제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스위치
스위치는 2계층에서 동작합니다.
스위치는 허브랑 비슷하게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통신을 중재하는 장비입니다.
허브와 스위치는 내부 동작 방식은 다르지만 여러 장비를 연결하는 역할은 같으며
스위치의 경우 허브의 역할과 통신을 중재하는 2가지 역할을 모두 포함하므로 스위칭 허브로도 불립니다.
스위치는 MAC 주소를 이해할 수 있어 목적지 MAC 주소의 위치를 파악하고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줍니다
허브가 확성기에 가깝다면 스위치는 전화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라우터
라우터는 3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네트워크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먼지역에 위치한 네트워크와 통신해야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라우터가 필요해졌습니다.
라우터는 원격지로 쓸데없는 패킷이 전송되지 않도록 브로드 캐스트와 멀티 캐스트를 컨트롤하며
불분명한 주소로 통신을 시도할 경우 이를 버립니다.
🙄로드밸런서
로드 밸런서는 4계층에서 동작합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의 특징을 이해하고 동작하는 7계층 로드밸런서도 존재하는데
이는 별도로 ADC(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라고 부릅니다.
로드 밸런서는 4계층 포트 주소를 확인하는 동시에 IP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로드밸런서는 웹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웹서버를 증설하고 싶을때 로드 밸런서를 웹서버 앞에 두고 웹서버를 여러대로 늘려주면
대표 IP는 로드밸런서가 갖고 로드 밸런서가 각 웹서버로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변경해 보내줍니다.
이런 구조를 만들면 여러대의 웹서버가 동시에 동작해 성능을 높여주는 효과와
일부 서버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서비스 복구가 용이해집니다.
대략 이런 느낌이겠네요
그림은 제가 직접 PPT로 만든거임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
유니캐스트 | 출발지와 목적지가 1:1 통신 대부분의 통신이 사용하는 방식 ex Http |
브로드캐스트 | 1: 모든통신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호스트가 목적지 주로 상대방의 정확한 위치를 알기위해 사용함 |
멀티캐스트 | 1: 그룹 통신 하나의 출발지에서 다수의 특정 목적지로 전송함 IPTV같은 실시간 방송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 |
애니캐스트 | 1:1 통신인데 목적지는 동일 그룹 내의 1개 호스트 IPv6에서는 모두 구현이 가능하고 IPv4에서는 일부 기능만 구현된다네요 가까운 DNS 서버를 찾을때 주로 사용됨 |
통신 방식을 구분할 때는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데이터를 전달하려는 출발지가 기준이 아님
🙄MAC 주소
MAC 주소는 Media Access Control의 줄임말입니다.
MAC 주소는 2계층에서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식별자로 물리적인 주소입니다.
MAC 주소는 하드웨어에 고정되어 출하되므로 변경할 수 없으며
48비트의 16진수 12자리로 표현됩니다.
이 48비트짜리 MAC주소는 다시 앞 24비트와 뒤 24비트로 반으로 나눠 구분합니다.
앞의 24비트에는 제조사 코드값이 할당되며 이를 OUI라고 부릅니다.
뒤의 24비트에는 각 제조사에서 자체적으로 할당하여 각장비를 구분할 수 있는 값 UAA를 할당합니다.
MAC 주소 체계를 표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00 00 00 00 00 00 OUI
(Orginizitonal Unique identifier)UAA
(Universally Administered Address)
MAC 주소는 각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 코드와 제조업체가 자체적으로 할당한 값으로 구성되며
하드웨어에 물리적으로 정해져서 나오므로 BIA라고도 부릅니다.
BIA : (Burned - In Address)
🙄그럼 MAC 주소는 변경할 수 없으니 유일하겠네요?
의외로 유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실수 혹은 의도로 인해 MAC 주소는 중복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MAC 주소는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중복되지않으면 동작하는 데 문제가 없어서 괜찮습니다.
🙄근데 MAC주소는 변경 못하는 거 맞아요?
결국 MAC 주소도 메모리에 적재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MAC 주소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BUM 트래픽이 뭐에요?
Broadcast, Unknown Unicast , Multicast를 지칭합니다.
B,U,M은 서로 다른 종류의 트래픽이지만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은 비슷합니다.
언노운유니캐스트는 유니캐스트이기 때문에 목적지 주소는 명시되어있지만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은 브로드캐스트와 같을 때를 가리킵니다.
목적지는 명시되어있지만 스위치가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학습하지 못한 상황(스위치 입장에선 unknown)
이어서 패킷을 모든 포트로 플러딩 하는 유니캐스트를 Unknown 유니캐스트라고 합니다.
BUM 트래픽은 유니캐스트이지만 실제로 보이는 동작 방식은 브로드캐스트에 가깝습니다.
반응형
'Network > 간단 정리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네트워크 OSI 7 계층과 TCP/IP 프로토콜 (0) | 2023.0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