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정보
정수 배열과 정수가 매개변수로 주어지는 문제입니다.
예산은 한정되어 있는데 필요한 예산은 많으니 한정된 예산으로 가장 많은 부서를 지원해줄 수 있는
케이스를 찾는 문제라고 해석했습니다.
예시
d budget result
[1,3,2,5,4] 9 3
[2,2,3,3] 10 4
입출력 예 #1
각 부서에서 [1원, 3원, 2원, 5원, 4원]만큼의 금액을 신청했습니다. 만약에, 1원, 2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예산 9원에서 7원이 소비되어 2원이 남습니다. 항상 정확히 신청한 금액만큼 지원해 줘야 하므로 남은 2원으로 나머지 부서를 지원해 주지 않습니다. 위 방법 외에 3개 부서를 지원해 줄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원, 2원, 3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6원이 필요합니다.
1원, 2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1원, 3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8원이 필요합니다.
1원, 3원, 5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려면 9원이 필요합니다.
3개 부서보다 더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으므로 최대 3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10원이 됩니다. 따라서 최대 4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역시 말보다는 예시로 보는게 더 직관적인 느낌이네요
최대한 많이 지원을 해주기 위해선 예산이 적게 필요한 부서들을 많이 지원해줘야할테니
필요예산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지원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나의풀이
function solution(d, budget) {
d.sort((a,b) => a-b) //예산을 오름차순으로 정렬
let counter = 0 // 지원해준 부서가 총 몇개인지 카운팅
for(i=0; i<d.length; i++) {
budget = budget - d[i]
if(budget >= 0) { // 만약 budget이 남아있다면 카운터를 올려줌
counter++
}
}
return counter
}
조금 더 생각해보니까 budget이 0 미만이 되었다면 더 for문을 진행할 이유가 없으니
break해주는게 좋겠네요
다른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d, budget) {
return d.sort((a, b) => a - b).reduce((count, price) => {
return count + ((budget -= price) >= 0);
}, 0);
}
sort로 정렬해주고 reduce함수를 이용해서 답을 구하는 방법이네요
count + ((budget -= price) >= 0); 부분이 불리언값으로 계산되면서 0 , 1로 계산되어
count값을 구할 수 있는 ㄷㄷ 1은 true 0은 false니까요!
반응형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Level 0] 컨트롤제트 Javascript (0) | 2022.11.30 |
---|---|
[Programmers Level 0] 공던지기 Javascript (1) | 2022.11.30 |
[Programmers Level 2] 다음 큰 숫자 Javascript (2) | 2022.11.30 |
[Programmers Level 0] 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Javascript (0) | 2022.11.28 |
[Programmers Level 0] 한번만 등장한 문자 Javascript (0) | 2022.11.25 |